현대모비스가 추진하는 SDV(Software-Defined Vehicle) 플랫폼은 기존 차량 아키텍처와 비교했을 때,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의 전환이라는 근본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과거 차량이 ‘기계와 부품의 조합’이었다면, SDV는 ‘하드웨어 위에 소프트웨어가 주도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1. 기존 차량 아키텍처와의 구조적 차이
과거 차량은 각 기능별로 ECU(전자제어장치)가 분산 배치된 구조였습니다. 예를 들어, 엔진 제어, 브레이크, 인포테인먼트,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이 각각 독립된 ECU에서 동작했죠.
이 방식은 기능이 늘어날수록 ECU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를 연결하는 와이어 하네스도 복잡해져 차량 무게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현대모비스의 SDV 플랫폼은 이를 ‘도메인 기반 → 존(Zonal) 기반 → 중앙집중형(Centralized) 아키텍처’로 단계적으로 전환합니다.
즉, 차량 곳곳에 분산된 제어기를 고성능 차량용 컴퓨터(HPVC)와 존 컨트롤러로 통합해, 하드웨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높입니다.
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분리(Decoupling)
기존 차량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하드웨어 변경 시 소프트웨어도 함께 수정해야 했습니다.
SDV에서는 이를 분리해, 하드웨어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독립적으로 개발·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렇게 되면:
- 차량 출시 후에도 OTA(Over-The-Air) 업데이트로 기능을 추가·개선 가능
- 다양한 차종과 연식에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적용 가능
- 외부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한 서비스 확장 용이
3. 모듈화와 표준화
현대모비스는 SDV 구현을 위해 소프트웨어 모듈화와 표준화를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 모듈화: 공통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재사용·업데이트 효율을 높임
- 표준화: SW-HW 간, SW-SW 간 통신 규약과 데이터 포맷을 통일해 개발 환경을 단순화
이를 통해 검증된 모듈은 재검증 없이 재사용할 수 있어 개발 속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4. 고성능 컴퓨팅과 차량 OS
SDV의 핵심은 HPVC(High-Performance Vehicle Computer)와 차량 OS입니다.
- HPVC는 차량의 ‘두뇌’ 역할을 하며,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통신, 데이터 저장 등을 통합 처리
- 차량 OS는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현대모비스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위해 Rust 언어를 기본 채택
- 통합 API를 통해 차량 전체를 하나의 가상 시스템처럼 관리, 자원 활용을 최적화
5. 데이터 기반 학습과 보안
현대모비스는 SDV를 지속적으로 학습·개선되는 AI 차량으로 정의하고,
- 주행 데이터 수집 → AI 모델 학습 → OTA 배포의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적용
- 차량 내·외부 연결성 확대에 따른 사이버 보안을 아키텍처 설계 단계부터 반영
정리
기존 차량 아키텍처가 ‘기능별 하드웨어 중심’이었다면, 현대모비스의 SDV 플랫폼은
“하드웨어 단순화 + 소프트웨어 중심 통합 제어 + 지속적 업데이트”라는 세 가지 축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차량을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만드는 변화입니다.